2028학년도 수능시험 대비 하반기 모의평가

9월 시행에서 8월 시행으로 앞당긴다!

유성룡(입시분석가 / 산에듀진학연구소장 / 1318대학진학연구소장)

2028학년도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 9월 중순 이후 진행

올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2년 후 치르게 될 2028학년도 수능시험 대비 하반기 모의평가(이하 모의평가)를 9월에 시행하는 것을 8월 시행으로 앞당기고, 성적표도 10월 초에서 9월 중순 이전으로 앞당겨 통지한다.

모의평가는 수능시험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하는 시험으로 고3 수험생과 졸업생 등 N수생을 대상으로 1년에 두 번 시행한다. 현행 수능시험 제도에서는 상반기는 6월 초에 시행하고, 하반기는 9월 초에 시행한다. 그러나 2028학년도에는 상반기는 6월 초에 시행하나, 하반기는 8월로 앞당겨 시행한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28학년도 수능시험 대비 하반기 모의평가 일정 변경안을 4월 15일 발표하였다.

하반기 모의평가를 8월로 앞당겨 시행하는 것에 대해서 교육부는 ‘그동안 9월 시행한 하반기 모의평가 성적이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 마감 후 공지됨에 따라 대학입시 예측 가능성이 저하되고, 이를 틈타 불안 심리를 이용한 사교육이 성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에 2028학년도 수능시험 대비 2027년 하반기 모의평가는 8월 넷째 주 또는 다섯째 주 중에 시행하고, 2028학년도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 일정은 하반기 모의평가 성적이 통지된 이후인 9월 중순 이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는 수험생들이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 시 하반기 모의평가 성적을 기반으로 충분히 고민한 다음 합리적인 수시ㆍ정시 모집 등 대학입시 지원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참고로 올해 치러지는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는 9월 8일부터 9월 12일까지이고, 하반기 모의평가 성적표는 10월 초 통지된다.

모의평가의 영역별 문항 수와 시험 시간 등은 수능시험과 동일하다. 이에 개편된 2028학년도 수능시험의 영역별 문항 수와 시험 시간을 비롯해 영역별 출제 범위와 성적 통지 등에 대해 살펴본다.


2028학년도 수능시험 공통 과목으로 시행

2028학년도 수능시험은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국어ㆍ수학ㆍ영어ㆍ탐구ㆍ한국사 영역을 선택 과목 없이 모든 수험생이 동일한 공통 과목으로 응시해야 한다. 그리고 탐구 영역은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2개 과목을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성적은 현행과 동일하게 국어ㆍ수학ㆍ탐구 영역은 상대평가로 제공되고, 영어ㆍ한국사ㆍ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제공된다.

전체 문항 수와 시험 시간은 5개 영역 210문항을 390분 동안 실시한다. 현행 수능시험에서는 210문항으로 380분 동안 실시한다. 이를 영역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국어ㆍ수학ㆍ영어ㆍ한국사 영역은 현행과 동일한 문항 수와 시험 시간으로 실시하지만, 탐구 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문항 수와 시험 시간에 변동이 있다.

탐구 영역은 현행 수능시험에서는 과목당 20문항으로 3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과목당 25문항으로 40분 동안 실시한다. 다시 말해 과목당 5문항 늘리고 시험 시간도 10분씩 늘려 실시한다.

이에 비해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현행 수능시험에서는 30문항으로 4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20문항으로 30분 동안 실시하는 것으로 문항 수와 시험 시간을 줄였다.

2028학년도 수능시험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국어ㆍ수학 영역의 선택 과목이 폐지되고 공통 과목으로만 출제하고, 탐구 영역도 선택 과목이 폐지되고 공통 과목인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으로 출제한다.

5교시로 실시하는 2028학년도 수능시험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1교시 국어 영역은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 등 3개 과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한 5지선다형 45문항을 80분 동안 실시하며, 문항별 배점은 2점과 3점이다.

2교시 수학 영역은 ‘대수, 미적분Ⅰ, 확률과 통계’ 등 3개 과목에서 출제한 5지선다형 및 단답형 30문항을 100분 동안 실시하며, 문항별 배점은 2점, 3점, 4점이다. 이때 단답형 문항은 30% 출제한다.

3교시 영어 영역은 ‘영어Ⅰ, 영어Ⅱ’ 과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한 5지선다형 45문항(듣기 17문항 포함)을 70분 동안 실시하며, 문항별 배점은 2, 3점이다.

4교시는 한국사 영역과 탐구 영역으로 필수 응시인 한국사 영역은 ‘한국사’ 과목을 바탕으로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핵심 내용 중심으로 출제한 5지선다형 20문항을 30분 동안 실시하며, 배점은 2점과 3점이다.

탐구 영역은 사회ㆍ과학ㆍ직업탐구로 사회ㆍ과학탐구의 경우 선택자는 반드시 사회ㆍ과학을 모두 응시해야 한다. ‘통합사회’ 과목에서 출제한 사회탐구와 ‘통합과학’ 과목에서 출제한 과학탐구는 각각 5지선다형 25문항을 40분 동안 실시하며, 배점은 1.5점, 2.0점, 2.5점이다. 직업탐구는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에서 출제한 5지선다형 25문항을 40분 동안 실시하며, 배점은 시회ㆍ과학탐구와 동일하게 1.5점, 2.0점, 2.5점이다.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한문’ 등 9과목에서 선택한 1과목으로 과목당 5지선다형 20문항을 30분 동안 실시하며, 배점은 2점과 3점이다.

영역별 전체 배점은 원점수로 국어ㆍ수학ㆍ영어 영역은 100점 만점이고, 한국사ㆍ탐구ㆍ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50점 만점이다.

하지만, 2028학년도 수능시험 성적통지표에는 현행 수능시험처럼 원점수는 기재되지 않고, 국어ㆍ수학ㆍ탐구 영역은 표준점수ㆍ백분위ㆍ등급이 기재되고, 영어ㆍ한국사ㆍ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등급만 기재된다. 그리고 이때 등급은 현행처럼 9등급으로 국어ㆍ수학ㆍ탐구 영역은 백분위 상대평가에 따른 등급으로 기재되고, 영어ㆍ한국사ㆍ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원점수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으로 기재된다.

즉, 국어ㆍ수학ㆍ탐구 영역의 등급은 백분위 누적 기준으로 1등급은 상위 4%까지이고, 2등급은 11%까지, 3등급은 23%까지, 4등급은 40%까지, 5등급은 60%까지, 6등급은 77%까지, 7등급은 89%까지, 8등급은 96%까지, 9등급은 100%까지이다.

영어 영역의 등급은 100점 만점 원점수 기준으로 1등급은 90점 이상, 2등급은 80∼89점, 3등급은 70∼79점, 4등급은 60∼69점, 5등급은 50∼59점, 6등급은 40∼49점, 7등급은 30∼39점, 8등급은 20∼29점, 9등급은 19점 이하이다.

한국사 영역의 등급은 50점 만점 원점수 기준으로 1등급은 40점 이상, 2등급은 35∼39점, 3등급은 30∼34점, 4등급은 25∼29점, 5등급은 20∼24점, 6등급은 15∼19점, 7등급은 10∼14점, 8등급은 5∼9점, 9등급은 4점 이하이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등급은 50점 만점 원점수 기준으로 1등급은 45점 이상, 2등급은 40∼44점, 3등급은 35∼39점, 4등급은 30∼34점, 5등급은 25∼29점, 6등급은 20∼24점, 7등급은 15∼19점, 8등급은 10∼14점, 9등급은 9점 이하이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문항 안내》 자료집을 발간하여 영역별 문제지와 정답표, 문항별 교육과정 근거를 제공하면서 수험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대표 문항에는 출제 의도와 교수ㆍ학습 주안점 등을 함께 안내해 주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www.kice.re.kr)와 대학수학능력시험 누리집(www.suneung.re.kr)을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